생활화학제품 안전약속이란
기업의 자율안전관리 활동 확산과 생활화학제품의 안전한 소비문화 확산을 위해
정부와 시민사회, 기업이 함께 구성한 협의체입니다.

지난 7년 동안 기업, 시민사회, 정부가 함께 참여하여 안전관리 거버넌스로 ‘제품안전협약’의 형태로 진행되었습니다.
더 많은 기업들의 동참과 안전한 생활화학제품 시장 확대를 위해 제품안전협약이 ‘안전약속 이행협의체’로 전환되어 출범합니다.
새롭게 출범한 이행협의체로 생활화학제품 안전성 강화에 대한 기업의 책임 의식을 높이고,
소비자 알권리 보장을 위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을 이끌어 내고자 합니다.

참여주체와 역할

  • 참여 기업

    제품 내 함유 전성분 공개, 제품 원료 단위 안전성 점검·조치, 완제품 단위 유해성 점검·조치,  제조사 자율적 제품 위해성·함유성분 관리 강화, 대-중소기업간 제품 안전관리 협업, 유통사 자율적 제품 안전확인 판매 정책 마련·시행 등 협약 내용을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시민단체

    협약이행 전과정에 참여하며 소비자의 알권리와 안전한 제품을 선택·소비할 권리 보장을 위해 민·관의 제품 안전관리 노력을 점검하고 국민들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협약 이행을 위한 민·관 협력체계 구축과 협의체 운영을 지원하고 기업의 협약 이행을 위해 전성분 공개 가이드 및 원료 안전성 평가 가이드 제공, 혼합물 유해성 평가(GHS) 가이드 제공, 성분사전 발간, 제품·화학물질 안전정보 DB구축 및 제공, 실무자 교육·워크숍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참여기업 혜택

  1. 01.

    원료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가 교육 제공

  2. 02.

    성분 공개 및 원료 안전성 평가
    정보 활용 맞춤 컨설팅 제공

  3. 03.

    생활화학제품 자율안전관리
    가이드라인 안내

  4. 04.

    생활화학제품 관련
    신규 정책 제안 및 검토

  5. 05.

    화학물질저감 우수제품 선정 시
    마크 사용 및 판촉 지원

  6. 06.

    우수기업과 파트너십 체결 및
    정부 포상

함께 걸어온 길

  1. 2017
    전성분 공개의 의미를 깨닫다
    2017. 2.
    제1기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 출범
    2017. 9.
    전성분 공개 가이드라인 마련
  2. 2018
    더 안전한 제품을 만들기 위한 새로운 도구를 논의하다
  3. 2019
    원료 안전성 평가를 도입하다
    2019. 2.
    제1기 협약기업 실무협의회(9회) 및 시민사회 간담회(4회)
    2019. 2.
    제1기 협약기업 전성분 공개(총 1,125개 제품)
    2019. 6.
    제2기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 출범
    2019. 10.
    생활화학제품 원료 안전성 평가 · 대체를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4. 2020
    더 안전한 생활화학제품을 위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다
    2020. 12.
    생활화학제품 원료 안전성 평가(1,100종)
    2020. 12.
    제2기 협약기업의 전성분 공개(총 1,417개 제품)
  5. 2021
    화학물질저감 우수제품 시범사업을 시작하다
    2021. 4.
    화학물질저감 우수제품 심사제 시행
    2021. 5.
    제2기 협약기업·시민사회 간담회(총 10회)
    2021. 9.
    제2기 협약기업 전성분 추가 공개(총 1,508개 제품)
    2021. 12.
    화학물질저감 우수제품 공개(25개 제품)
    2021. 12.
    제3기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자발적 협약 체결
  6. 2022 ~ 2023
    국민과 함께 소통하다
    2022. 12.
    제3기 협약기업 전성분 공개(총 1,617개 제품)
    2022. 12.
    화학물질저감 우수제품 추가 공개(18개 제품)
    2023. 08.
    화학물질저감 우수제품 추가 공개(18개 제품)
    2023. 12.
    제3기 협약기업 전성분 추가공개(총 1,801개 제품)
콘텐츠 만족도 조사